Government should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mishap
정부, 참사에 책임지는 자세 가져야
On Tuesday, the nine-member Constitutional Court unanimously rejected Interior Minister Lee Sang-min’s impeachment.
9명으로 구성된 헌법재판소는 화요일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의 탄핵을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기각했다.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it is difficult to see the minister failed to fulfill his constitutional duty to protect the public in violation of the Disaster Safety Act and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t said.
헌재는 “헌법과 법률의 관점에서 볼 때 재난안전법과 국가공무원법을 위반하여 대중의 보호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So, the top tribunal concluded this society should not punish even the safety-related minister for the crowd crush that left 159 people dead in Seoul’s Itaewon district last October.
따라서 헌재는 지난해 10월 서울 이태원에서 159명이 사망한 압사 사고와 관련해 국민의 안전을책임지는 행안부 장관조차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The ruling might be legally indisputable, but it is totally incomprehensible based on common sense.
이 판결은 법적으로는 논쟁의 여지가 없을 수 있지만 상식에 기반하면 이해하기 어렵다.
The decision comes after the judiciary branch released all lower-echelon officials responsible for the tragedy on parole. No one is in jail 269 days after the human disaster occurred.
이번 결정은 사법부가 해당 참사와 관련된 하급 공무원들을 모두 가석방 시킨 뒤 나왔다. 인재가 발생한 뒤 269일이 지난 현 시점에서 수감 중인 사람은 없다.
Contrary to Lee’s brazen claims, the toll might have been reduced had he or municipal officials dispatched more personnel earlier and operated them better.
이상민 장관의 뻔뻔한 주장과는 달리 만약 이 장관 혹은 시 공무원들이 더 많은 인력을 조기에 파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했다면 사망자 수가 감소했을 수도 있다.
However, it took Lee 85 minutes to get to the scene in his “official car.” “It wasn’t a matter of police officers and rescuers,” he later said. “I was not idling around,” he told the victims’ families. Faced with pressure to step down, he said, “I, too, want to resign with style.”
그러나 이 장관이 “공무차량”으로 사건 현장에 도착하기까지는 85분이 걸렸다. 이 장관은 이후 “경찰이나 소방 인력 배치 문제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희생자 유가족에게 “내가 빈둥댄 건 아니”라고 말했다. 사임 압박에 직면하자 그는 “나도 멋지게 사퇴하고 싶다”고 말했다.
These might not be violations to deserve impeachment. One bereaved family member fell to the ground to hear the head of the court read the decision.
이런 발언이 탄핵할 정도의 법률 위배는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한 유가족은 헌재가 판결문을 읽자 바닥으로 쓰러졌다.
Opposition parties said the court’s verdict did not free Lee and the government from ethic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y. Right but hollow.
야당은 헌재의 판결이 이 장관과 정부에 윤리적 혹은 정치적 책임에 대한 면죄부를 준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맞는 말이지만 공허하다.
Instead, the manmade catastrophe and its aftermath raise a couple more fundamental questions; what are crime and punishment in Korea? Should law or common sense be prioritized? Especially so, as Korea has become a country of prosecutors.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governs through investigations ― only when and where it wants.
대신, 해당 인재(人災)와 그 후속조치는 몇 가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한다. 한국에서 범죄와 처벌은 무엇인가? 법률과 상식 중 무엇을 우선시해야 하나? 특히 한국은 검사들의 국가가 되어버렸기에 더욱 그렇다. 현 정부는 원할 때와 원하는 곳에서만 ‘조사’를 통해 통치한다.
The government, which hurriedly wrapped up probes in the Itaewon tragedy, is lately dusting off every nook and cranny of another human disaster.
이태원 참사의 조사를 서둘러 마무리한 정부는 최근 또 다른 인재의 모든 측면을 샅샅이 뒤지고 있다.
About two weeks ago, 14 people died in an underpass some 150 km south of Seoul, as it was flooded when a nearby river overflowed after a dam was swept by rising water. It could have been prevented had the levee been built more solidly or had someone blocked the traffic in advance.
약 2주 전 서울에서 약 150km 떨어진 오송 지하차도에서 14명이 숨졌다. 근처 댐에서 상승하는 빗물 때문에 물이 넘쳐흘러 지하차도가 침수됐다. 제방이 더 견고하게 지어졌거나 미리 차량 통제를 했다면 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
This time, too,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ials are busy passing the buck. Police officers say they did their best.
이번에도 시와 구청 관리자들은 책임을 떠넘기느라 바쁘다. 경찰은 최선을 다했다고 말한다.
Which lower officials will come forward when a Cabinet minister, mayor and governor emerge unscathed from manmade calamities taking dozens or hundreds of innocent lives?
장관, 시장, 도지사들도 수십 명 혹은 수백 명의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인재에서 아무 탈 없이 빠져 나오는데 어떤 하급 관리자가 나설까?
Pressured by people to sack his home minister last year, President Yoon Suk Yeol said, “Vaguely demanding responsibility for everything does not make sense in modern society.”
지난해 국민이 행안부 장관을 파면하라고 압박하자 윤석열 대통령은 “현대 사회에서는 애매모호하게 모든 일을 책임을 지라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KEY WORDS
■ unanimously 만장일치로
■ impeachment 탄핵
■ fulfill (의무 등을) 다하다, 이행하다
■ on parole 가석방되어
■ brazen 뻔뻔한
■ step down 사직하다
■ every nook and cranny (어떤 장소의) 구석구석, (상황의) 모든 측면
■ pass the buck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다
■ unscathed 다치지 않은, 아무 탈 없는
■ sack 파면하다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