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woman stands by the many flowers and messages left by members of the public at a memorial near Sillim Station in southern Seoul, Monday. Yonhap 월요일 한 여성이 서울 관악구 신림역 인근에 마련된 추모 공간에 추모객들이 남긴 꽃과 메모들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 |
By Ko Dong-hwan
In the wake of a stabbing rampage, in which a 33-year-old man killed one man and injured three others, Friday, there are growing calls for the country’s criminal justice system to explore countermeasures for such crimes.
한 남성(33)이 흉기를 휘둘러 한 명이 숨지고 세 명이 다친 사건이 발생한 후 국내법 집행 체계가 ‘묻지마 범죄’에 대한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So far, authorities and the public have defined crimes against random victims as motiveless killings by psychopaths and, as such, held individual perpetrators solely responsible for the crime.
지금까지는 군중을 희생시키는 반사회적 범죄는 정신병자의 우발적 동기에 의한 살인으로 규정돼 오로지 가해자 개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But many claim that such categoriz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more systemic management by authorities so that potential killers can be preemptively monitored and prevented from committing any mass assaults.
하지만 당국이 이러한 분류를 더욱 체계적인 관리로 대체하고, 잠재적 가해자를 사전 감시해 불특정 다수에 대한 공격을 예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Experts said that each case of “social terror” should not be simply seen as an adrenalin-driven random act by an individual with psychosis, but instead as a dangerous social phenomenon, a symptom of broader soci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argument approaches such crimes as the responsibility of collective communities rather than the sole problem of a delusional individual.
전문가들은 ‘사회적 테러’ 사건을 단순히 정신병자의 무작위 행동으로 보는 대신 위험한 사회 현상이자 보다 광범위한 사회 문제의 증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즉, 묻지마 범죄를 망상에 빠진 개별 당사자의 문제가 아닌 공동체의 집단 책임으로 접근하자는 주장이다.
For now, experts say the country’s criminal justice system should be overhauled to verify whether at-risk ex-convicts are being monitored to ensure they do not reoffend.
전문가들은 국내 법체계를 개편해 ‘위험군’ 전과자에 대한 감시 여부를 검증해 재범을 방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Prof. Kwak Keum-joo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Psychology said there are certain indices that correlate to a higher probability of committing random killings, such as self-isolation from communities or being jobless and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곽금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공동체로부터 고립되거나 실직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통 받는 등 무작위 살인을 저지를 확률이 더 높은 특정 지표가 있다고 설명했다.
She said the government should monitor such individuals regardless of their criminal records by focusing on traits that are detected through such indices and maintain communication so that they can become aware of their problems.
곽 교수는 정부가 이러한 지표로 감지된 특성에 주목해 전과 기록에 상관 없이 이러한 개인을 감시하고 소통을 유지해 이들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To prevent further motiveless crime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ose in more vulnerable situations than others, like children who are being constantly abused or those living alone and suffering from economic hardships,” Kwak told The Korea Times.
곽 교수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무차별 범죄를 막기 위해 우리는 학대 받는 아동이나 1인 가구,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과 같이 보다 취약한 상황에 있는 개인에게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KEY WORDS
■ rampage 광란
■ countermeasure 대책, 보호 조치
■ perpetrator 가해자[범인]
■ solely 오로지, 단지
■ systematic 체계적인, 조직적인
■ preemptively 예방적으로, 우선적으로
■ assault 폭행, 공격
■ psychosis 정신병
■ delusional 망상의
■ overhaul 정비하다
■ ex-convict 전과자
■ indice (=index의 복수) 지표
■ correlate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