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Recurrence of violent crimes reignites debate over death penalty

Bomi Yoon

A woman lays flowers on the street near Seohyeon Station in Gyeonggi Province, Aug. 7. Korea Times photo by Seo Jae-hoon지난 7일 경기도 서현역 근처 거리에 한 여성이 꽃다발을 놓고 있다. 코리아타임스 서재훈
A woman lays flowers on the street near Seohyeon Station in Gyeonggi Province, Aug. 7. Korea Times photo by Seo Jae-hoon
지난 7일 경기도 서현역 근처 거리에 한 여성이 꽃다발을 놓고 있다. 코리아타임스 서재훈


Criminologists say death penalty would not have deterrent effect

범죄학자들, 사형제도의 범죄 억지력에 대해 회의적

By Jun Ji-hye

Brutal stabbings and the violent rape of a school teacher on her way to work in a residential area of Seoul in recent weeks have not only escalated fears among the public, but also reignited a fierce debate over resuming the executions of death row inmates in Korea, which were halted 26 years ago.
최근 몇 주 사이 칼부림 사건들과 서울 주택가로 출근 중이던 초등학교 교사를 잔혹하게 강간한 사건 등이 잇따르면서 대중의 공포감이 높아졌고 이와 동시에 한국에서 26년 전 중단된 사형 집행 부활에 대한 여론에 불이 지펴졌다.

After Cho Seon, 33, went on a stabbing spree killing one man and wounding three others near Sillim Station in Seoul, July 21, a similar knife rampage occurred, Aug. 3, by 22-year-old Choi Won-jong near Seohyeon Station in Gyeonggi Province, that left one woman dead and 13 others wounded.
지난 7월 21일 서울 신림역 인근에서 조선(33)이 흉기를 휘둘러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친 데 이어 지난 3일에도 경기도 서현역 인근에서 최원종(22)이 흉기로 난동을 부리는 사건이 발생해 여성 1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을 입었다.

Then on Thursday, a 30-year-old man,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Choi, brutally assaulted and raped a woman on a hiking trail in Sillim-dong. He was arrested on Saturday, and the victim, who remained unconscious following the attack, died later that day.
지난 17일 목요일에는 신림동 등산로에서 최모씨(30)가 한 여성을 잔인하게 공격하고 성폭행했다. 최 씨는 토요일 체포됐고 사건 후 의식을 잃은 피해자는 해당일 늦게 사망했다.

Korea is categorized as a death penalty abolitionist in practice by Amnesty International,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ocused on human rights, as the country has not carried out any executions since Dec. 30, 1997.
한국은 1997년 12월 30일 이후 한 번도 사형을 집행한 적이 없어서 인권 분야 비정부기구인 국제앰네스티가 ‘실질적 사형폐지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But the country still maintains the death penalty and courts continue to sentence criminals to capital punishment. The number of death-row convicts stood at 60 as of last year, according to Amnesty International’s annual report published in May.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사형 제도를 유지 중이며 법원은 범죄자에게 사형을 계속 선고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가 지난 5월 발표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에 수감 중인 사형수는 60명에 이른다.

Shocked by the recent crimes, people have expressed their anger on internet communities, demanding that law enforcement authorities sentence the suspects to death and carry out the executions.
최근 발생한 범죄에 충격 받은 시민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법 집행 기관이 피의자들에게 사형을 선고 및 집행할 것을 요구하며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I was quite skeptical about the death penalty, but changed my mind recently as brutal crimes have continued to occur,” one online user wrote on Naver.
한 네티즌은 네이버에 “사형제도에 상당히 회의적이었지만 최근 잔혹 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마음을 바꿨다”고 적었다.

Another said, “The country’s punishment against felons is too weak. Death penalties should be carried out again to prevent similar crimes.”
또 다른 네티즌은 “한국 흉악범 처벌은 너무 약하다. 유사범죄 예방을 위해 사형제도를 실제 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KEY WORDS
■ deterrent effect (전쟁) 억지 효과
■ escalate 확대되다
■ resume 재개하다
■ rampage 광란
■ assault 폭행하다(특히 범죄가 되는 행위)
■ death-row convict 사형수
■ execution 처형, 사형 (집행)
■ brutal 잔혹한
■ felon 중죄인, 흉악범
■ prevent 막다, 예방하다

기사 원문 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