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ritish Scouts leave the venue of the World Scout Jamboree in Buan, North Jeolla Province, Sunday, cutting short their stay due to extreme heat. Yonhap 일요일 영국 스카우트 대원들이 폭염으로 전북 부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서 조기 퇴영하고 떠날 채비를 하고 있다. 연합 |
By Jon Dunbar
Parents from more than 150 countries who sent their teenage children to Korea for the World Scout Jamboree (WSJ) are now wondering whether they misplaced their trust in the country, with its troubled safety record. Now the whole world is watching the news of this debacle coming out of Saemangeum, North Jeolla Province.
청소년 자녀를 한국 세계스카우트잼버리로 보낸 150개국 학부모들은 연이어 들려오는 안전 문제소식에 한국을 신뢰하는 게 옳았나 하는 의문에 빠져있을 것이다. 전 세계가 전북 새만금에서 흘러나오는 파행 소식을 지켜보고 있다.
But complaints have been coming out since as early as July 27 when adult volunteers from foreign countries started arriving at the vast sunbaked site, a location that has the world’s longest man-made dike, measuring 33 kilometers, resulting in a huge land reclamation project that has been years in the making.
하지만 항의는 지난 7월 27일부터 나왔는데 해외에서 성인 자원봉사자들이 수년간 진행된 대형 간척 사업인, 세계에서 가장 긴 길이 33km의 인공 제방이 있는 드넓은 뙤약볕인 전북에 도착하기 시작했을 때다.
“It’s just very disappointing how the Korean Scouts worked so hard to portray their organizing of the event as a potential success and hyping it to be a great and innovative Jamboree,” one International Service Team (IST) volunteer, traveling with a delegation from a Latin American country, told The Korea Times on Tuesday.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대표로 파견된 한 국제운영요원(IST) 자원봉사자는 화요일 코리아타임스에 “한국스카우트연맹이 이번 행사를 잠재적 성공으로 묘사하고 대단히 혁신적인 잼버리가 될 거라고 과대 홍보했던 사실에 큰 실망감을 느낀다”고 전했다.
“The reality is that it has been a complete mismanagement and safety hazard for young people and the adult volunteers on site already.”
“현실은 이번 행사는 완벽한 운영 부실이자, 현장 청소년과 성인 자원봉사자들에게 심각한 안전 상 위험을 준다는 것이다.”
On July 31, three of 300 IST adult volunteers collapsed due to the heat, according to a document written by volunteers on site and shared with The Korea Times. “If one percent of the Jamboree collapses every day there will be around 7,700 injuries by the end of the Jamboree just due to heat,” the volunteers claimed.
현장 자원봉사자들이 작성해 코리아타임스에 공유한 문서에 따르면 지난 7월 31일 300명의 IST 성인 자원봉사자 중 3명이 폭염으로 실신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잼버리 인원 1%가 매일 실신한다면 대회 마지막 날에는 온열 질환으로 7천700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The following day saw more than 400 heat-related illnesses, according to the organizing committe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raw conclusions from this data, as the actual number of participants on site on Tuesday remains unknown. While it was widely reported that all 43,000 Scouts visiting the country were present, the actual number was likely much smaller.
조직위에 따르면 다음날 400명이 넘는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이 자료에서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려운데, 화요일 현장에 있던 실제 인원이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4만3000명이 스카우트에 참가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실제 숫자는 훨씬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of Tuesday, only four of the total 17 camping zones were fully ready to receive participants, while nine were partially ready and another four were unusable. Major contingents including those from the U.S. and U.K. delayed their arrival in order to provide time for the organizers to prepare the campsites. Many also had to relocate to other camping plots.
화요일 기준 17개 중 4개 야영 시설만 참가자들을 받을 준비가 됐고, 9개는 여전히 준비 중이었으며, 나머지 4개는 사용 불가능한 상태였다.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주요 대표단들은 조직위가 야영장을 준비할 시간을 주기 위해 도착 시간을 늦췄다. 다수는 다른 야영지로 재배치됐다.
Much of the land had been flooded, looking like, as one British Scout put it, “Shrek’s swamp,” due to the recent heavy rainfall.
새만금 부지는 최근 폭우로 대부분 침수돼 한 영국 스카우트 대원이 말했듯 “슈렉의 늪”처럼 보였다.
KEY WORDS
■ misplace (신용 등을) 잘못 주다
■ troubled 문제가 많은
■ debacle 대실패, 큰 낭패
■ sunbaked 햇볕이 강한
■ reclamation (토지) 매립, 개간
■ in the making 만들어지고[형성되고] 있는
■ hype (대대적으로 과장된) 광고[선전]를 하다
■ mismanagement 관리 부실
■ hazard 위험 (요소)
■ collapse (보통 의식을 잃고) 쓰러지다
■ on site 현장의
■ contingent (어떤 행사에 참석한, 특히 출신지가 동일한) 대표단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