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ustice Minister Han Dong-hoon announces the details about a new law mandating high-risk sex offenders reside in state-designated facilities during a press briefing at the Government Complex in Gwacheon, Gyeonggi Province, Tuesday. Yonhap 화요일 경기 과천 정부종합청사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고위험 성범죄자를 국가가 지정한 시설에서만 거주하도록 하는 제정안의 세부사항에 대해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
By Jung Da-hyun
Debate is heating up over the justice ministry’s legislative proposal aimed at compelling high-risk sex offenders to reside in designated facilities even after their release.
고위험 성범죄자의 출소 후 거주지를 국가 운영 시설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법무부의 입법예고 방침을 두고 여론이 뜨겁다.
Some say that this new law, if enacted,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rate of recidivism, while others claim it contains the problem of being punished twice as the offenders have already served time in prison.
일각에서는 새 법안이 시행되면 재범 위험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을 거라고 하지만, 형기를 마친 범죄자에 대한 이중 처벌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The ministry is scheduled to make a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to introduce the law on Thursday. The ministry will then submit its final proposal to the National Assembly after listening to various opinions. The proposal will become law if it is approved in a plenary session of the Assembly, and will apply retroactively to felons who have already been released from prison.
법무부는 목요일 제정안을 입법예고할 예정이다. 법무부는 다양한 의견을 들은 후 국회에 최종 제정안을 제출하게 된다. 국회 전체회의에서 통과될 경우 제정안은 법률이 되며, 이미 출소한 범죄자들에게 소급 적용된다.
This envisioned legislation is referred to as the Korean version of Jessica’s Law in the United States, which prohibits child sex offenders from residing within 1,000 to 2,000 feet of schools.
이번 제정안은 아동 성범죄자가 학교로부터 1000~2000피트 이내에 거주할 수 없도록 한 미국 ‘제시카법’의 한국형 법안으로 거론된다.
Unlike Jessica’s Law, the Korean ministry’s proposal focuses only on designating specific facilities for the residence of high-risk sex offenders. This approach was chosen due to the challenges of enforcing distance-based housing restrictions in densely populated metropolitan areas with limited land availability in Korea.
제시카법과 달리 한국 법무부 제정안은 고위험 성범죄자의 거주지를 특정 시설로 지정하는 데에만 집중하고 있다. 인구 밀도가 높고 국토가 좁은 한국에서 거리에 기초한 거주지 제한 시행이 어려운 탓에 이러한 접근법이 선택됐다.
KEY WORDS
■ compel ~하게 만들다
■ reside in ~에 거주하다
■ designate 지정하다
■ enact (법을) 제정하다
■ recidivism 재범(성)
■ plenary session 전체 회의, 총회
■ retroactive 소급 적용되는
■ felon 중죄인, 흉악범
기사 원문 보기